메뉴 건너뛰기

창조도시 기록보관소

문학 과학소설 [科學小說, science fiction]

2006.08.13 09:44

아란 조회 수:27 추천:1

>

 가 무엇인지요?

>

 보통 sf라고 하면 과학적인 내용같던데...

>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가요?


==================================================================================================


 

# 과학소설 [科學小說, science fiction]

과학을 주제로 한 소설.
여기에는 ① 자연과학의 해설을 소설 형식으로 쓴 것, ② 과학의 선전·보급을 위하여 소설 형식으로 연애나 각종 사건을 엮은 것(예를 들면 성병이나 결핵예방의 소설), ③ 자연과학을 트릭으로 한 추리소설이나 탐정소설, ④ 현재의 과학 수준에서 과학의 발전, 장래, 인류의 운명 등의 예상을 소설 형식으로 다룬 것 등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①과 ②는 시대와 함께 생겼다가 사라지지만, ③과 ④는 문화에 공헌하는 바가 적지 않다. 특히 ④에 속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프랑스의 J.베른이 창시자로 인정을 받고 있으며, 그의 저서 《5주간의 기구여행(氣球旅行)》 《해저 2만리》 《달나라 여행》 《지저여행(地底旅行)》 등에 의한 비행기·잠수함·이동노면(移動路面)·압축공기 등의 예언은 그 후 실제로 자연과학상 달성된 것이 많다. 뒤이어 빌리에 드리라당은 《미래의 이브》를 써서 인조인간(人造人間)에 대한 것을 최초로 소설화했다. 이 작품도 역시 일종의 과학소설이라 할 수 있다.


과학소설을 확고부동한 독자적인 소설 장르로 구축한 사람은 영국의 H.G.웰스이다. 웰스는 1895년에 처녀작 《타임머신》을 냈고, 계속하여 《화성과의 전쟁》 《월세계 최초의 인간》 《우주전쟁》 등의 독특한 과학소설을 썼다. 이윽고 과학의 미래, 과학의 진보·발전에 수반하는 사회생활의 변천, 도덕의 변화, 인류의 진화 등의 문제가 과학소설의 중심문제라는 사실을 간파하고, 문화비평·문명비판으로서의 과학소설의 일면을 개척하였다.


웰스 이후 과학소설은 한때 침체기에 들어갔으나,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다시 활발해져 대중문학으로서 많이 읽혀졌을 뿐만 아니라 문학 전반에도 자극을 주었다. 예를 들면, A.헉슬리의 《아름다운 신세계》(1932) 등은 명백하게 과학소설에 발상의 터전을 두고 있다. 1920년대 후반 무렵부터 과학소설은 매우 통속화(通俗化)된 형태로 미국에 수입되어 통속적인 읽을거리로서 크게 환영을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조금 전부터는 높아진 일반의 과학적 수준을 반영하여, 과학적인 공상을 즐기는 소설, 또는 과학적 가설(假說)을 즐기는 소설로서 발달하기 시작했다.


전쟁 후,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일상생활의 기계화 등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일반의 관심을 자극하여 미국을 비롯한 러시아·영국 등 각국에서 과학소설이 한창 씌어지게 되었다. 작가로는 R.하인라인, R.브래드베리, I.아시모프, A.카잔체프, I.에프레모프, A.C.클라크 등 다수가 활약하였다. 과학소설은 최근에 '공상과학소설', 또는 science fiction을 약하여 SF로 호칭되는 경우가 많다.


 


지식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SF의 뜻은 뭐 이런 것이랍니다.


 


뭐 사이언스 판타지 라고 해도 틀린 말도 아니고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단편제 참가 바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