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창조도시 기록보관소

“마니아 중의 마니아 우리는 통이다”

2006.04.06 02:08

십전대보탕 조회 수:431

[20&30] “마니아 중의 마니아 우리는 통이다”

[서울신문 2006-04-05 08:57]  



게임 ‘통’ 이치수

[서울신문]어떤 분야에 남보다 높은 관심과 식견을 갖고 있는 사람을 흔히 ‘광’(狂) 또는 ‘마니아’(mania)라고 했다. 하지만 ‘광’이 많아지면 언젠가는 그 세계를 압도하는 ‘광 중의 광’이 나타나게 마련이다. 우리는 그들을 ‘통’(通)이라고 부른다. 이 시대 ‘통’의 경지에 도달한 2030 4명을 만나봤다.
■ 타이틀 700여개 보유… 게임리뷰도

이치수(26)씨는 게임 ‘통’이다. 국내에서 나오는 게임 타이틀뿐만 아니라 일본 타이틀도 모조리 섭렵해 전문가적 지식을 갖췄다. 현재 월간 게이머즈와 웹진 엔게이머즈 등 게임잡지 두군데에 정기적으로 글을 싣고 있고 지난해부터 게임제작사 ㈜엠게임에서 게임 프로듀서로 일하고 있다.

이씨는 초등학교 3학년 때 처음 게임을 접했다. 친구 집에서 8비트 게임기 패미콤으로 ‘슈퍼마리오’라는 게임을 하면서부터다. 가만히 앉아서 감상하는 만화나 TV가 아니라 자기가 원하는 대로 캐릭터를 조종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단박에 이씨를 사로 잡았다.

고등학교 때까지 일반적인 ‘마니아’ 수준에 불과하던 이씨가 ‘통’의 경지로 올라선 건 1999년 대학에 들어가고나서부터. 수업도 빼먹으며 게임에서 익힌 전술·전략을 PC통신 게시판에 마구 올려댔다.

이씨는 플레이스테이션2와 엑스박스, 닌텐도DS 등 시판되고 있는 게임기 18종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1개에 6만원 정도하는 게임 타이틀은 한달 평균 7∼8개 구입, 모두 700여개에 달한다.1년에 2차례 정도 꼭 ‘게임천국’ 일본을 방문해 희귀 타이틀을 구한다.

업무 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게임을 만드는 데 몰두한다면 여가시간은 게임을 즐기고 게임 마니아 수천명이 찾는 개인 블로그에 게임 리뷰를 쓰는 데 보낸다.

이씨는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를 산업적으로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돼주는 적극적인 소비자’를 ‘통’으로 정의한다.“게임을
만화 ‘통’ 김상하

좋아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여전히 복제품 문화가 판치고 있는 게 우리 현실입니다. 정말로 게임을 사랑한다면 게임에 아낌없이 주머니를 바치는 확실한 소비주체가 돼야 한다고 봅니다.”

이재훈기자 nomad@seoul.co.kr

■ 12만권 독파 1만권 소장

게임프로듀서 김상하(30)씨의 3평짜리 방은 사방이 책꽂이다. 그리고 그 속에는 5000권 정도의 만화책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창고에 따로 보관하는 책까지 합치면 1만권에 이른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여느 만화 마니아와 다를 바 없이 수업시간에 만화를 보다 들켜 혼나는 정도의 수준이었다.

하지만 20대에 접어들면서 그는 자타가 인정하는 ‘통’의 반열에 올라섰다. 한달에 보통 100권, 많을 때는 300권씩 만화책을 무더기로 샀다.

일본만화 원서나 번역본, 우리나라에 단 한권만 유통되고 있는 희귀 이란 만화 ‘페르세포스’ 등 미국·프랑스·타이완·홍콩 등 각국의 만화 수집에 나섰다. 만화선진국 일본에 연간 2∼3차례는 꼭 날아가 희귀본을 구한다. 헌책 거래총판들과 안면을 터 희귀본이 나오면 먼저 연락을 해 준다.

3년 전 1억권 가량의 유통만화를 집대성해 놓은 일본 만화연감을 놓고 하나하나 따져봤더니 읽은 책이 무려 12만권에 달했다. 일본 만화에 대한 남다른 지식에 자존심이 상한 일본의 ‘만화 오타쿠’들은 김씨를 ‘재수없는 촌(조선인의 줄임말)’이라며 비아냥거리기도 했다.

2004년 3월부터 작품과 작가 소개, 만화책 사는 요령 등을 실으며 운영하고 있는 개인 블로그에는 하루 평균 3000여명이 방문한다.‘씨네21’‘DVD 2.0’ 등 영화잡지에 가끔 작품 소개 등을 기고하며 지식을 나누고 있다.

김씨 역시 ‘통’으로서 만화에 대한 걱정을 산업과 연결시켰다.“인터넷에서 스캔한 만화 단행본들이 떠돌아다니며 게임 복제품과 다름없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10권을 스캔 떠서
철도 ‘통’ 권오현

봤다면 1권 정도는 돈 주고 사서 보는 최소한의 양식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재훈기자 nomad@seoul.co.kr

■ 회원 11000명 카페 운영까지

권오현(21·KAIST 산업공학과 3학년)씨는 지난달 대구로 가서 NBC라는 기종의 기차를 타보고 왔다.1985년부터 대구∼마산을 운행해온 3칸짜리 이 기차가 올해안에 모두 폐차된다고 해서다.

그가 기차를 탈 때에는 이유가 있다. 차량 내부구조는 물론 전기, 통신, 신호체계 등을 꼼꼼히 기록하고 체크하기 위해서다. 권씨가 운영하는 인터넷 카페에는 이렇게 모은 자료가 가득하다. 버리지 않고 모아온 기차표가 구두상자 여러개에 담겨 있다.

권씨 카페의 회원들은 수집한 자료를 공유하고 현 철도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이기도 한다.“수원∼천안을 1시간에 1대만 운행하고 있지만 시간표를 잘 짜면 더 자주 운행시킬 수 있지요. 분당선·3호선에도 급행열차를 다니게 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운송이 가능합니다.” 권씨가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는 스스로 철도 운행시간표를 짜보는 것. 다이어그램이라고 하는 시간표는 전차의 속도·성능, 역구간 거리, 승객 수, 기관사 휴식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짤 수 있다. 거기에 감칠맛 나는 두뇌게임의 묘미가 있다.

권씨는 “일본에서 들어온 ‘오타쿠’가 소비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라면 우리는 수집한 자료를 공유하고 분석·연구하면서 실생활에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등 좀더 생산적인 주체”라고 말했다. 그도 여느 ‘철도 통’처럼 지나가는 기차를 보면 한눈에 행선지와 출발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열차번호를 보면 제조시기와 운행시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철도에 푹 빠진 이유는 뭘까.“전국을 거미줄처럼 얽고 있는 철도망이 한치의 오차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운행되고 있는데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나요?”

윤설영기자
항공 ‘통’ 이윤진

snow0@seoul.co.kr

■ 항공 시뮬레이션 대가… 비행사가 꿈

“피에프(PF·Pilot Flying), 기어업(Gear Up).”

GM대우에서 차체설계를 담당하고 있는 이윤진(28)씨의 어릴 적 꿈은 파일럿. 그는 이 꿈을 이루지 못했으나 매일 밤 전 세계 하늘을 날아다닌다. 비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다. 대학 2학년때 이 프로그램을 접하고서 한동안 잊고 살던 어린 시절 꿈이 고스란히 되살아났다.

실제 비행사들이 비행 훈련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하는 이 프로그램은 비행기의 기종과 성능은 물론, 전세계 공항의 지형과 활주로도 실제와 똑같아 비행사들과 거의 같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한다.

“한 단계를 넘을 때마나 실제 비행과 가까워지니까 진짜 조종사가 된 느낌이었죠.”

이씨는 지난해 11월 대한항공에서 주최한 항공 시뮬레이션 대회에서 외국인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1등을 차지했다.

예선, 본선을 거쳐 결선에서 인천국제공항에서 제주공항까지 운항하는 과제를 훌륭히 해냈다. 이씨는 비행에 만족하지 않고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위성사진을 받아 한국의 지형을 프로그램에 적용시켰다. 육군 항공대 헬기 조종사가 “실제와 정말 똑같다.”고 감탄하기도 했다.

이씨는 기체 일부만 봐도 어느 회사에서 만든 어떤 비행기인지 알 수 있다고 한다.“전세계에 300명 이상 타는 비행기는 어림잡아 30종입니다. 다 비슷하게 보여도 기장석 작은 창문 하나까지 모양이 조금씩 다르죠.”

에어버스 A-330기종을 가장 좋아한다. 착륙할 때 기어가 축 처지는 모양이 마치 새가 내려앉는 것과 비슷해 매력적이다.

지난해 여름 휴가 때 싱가포르∼뉴욕을 19시간30분 동안 쉬지 않고 날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다. 올 여름휴가는 어디로 떠날까.‘비행 통’은 벌써부터 고민에 빠져 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



이원복 교수의 '먼나라 이웃나라:일본 일본인편'에서 오타쿠 문화에 대해 처음 접하고는
그들을 아마추어계의 절대자로 인식하던 시절이 있었죠.
저 또한 그들을 동경했습니다.

그러나 오타쿠 취향의 여러 작품들을 접해보곤(대표적인 예로 현시현)
이원복 교수의 정의가 잘못됬다는 것을 최근에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비생산적 소비중심 문화의 주체인 오타쿠.
그에 비해 이 기자분이 말씀하신 일명 '통'이라 불리시는 대한민국 국민들의 모습은
제가 지향하던 모습 그 자체군요!

정말 당신들을 존경합니다. 어흑.






……여러분은 일본의 '오타쿠 문화'와 대한민국의 '통 문화(아직까지 문화라 부르긴 그렇지만)'에 대해, 그리고 한 분야에 광적으로 미치는 분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 총기난사사건에 대해서 [24] 포이즌 2005.06.22 433
237 이동통신사는 왜 거짓말을 일삼는가. [5] 꼬마사자 2010.08.20 432
» “마니아 중의 마니아 우리는 통이다” [5] 십전대보탕 2006.04.06 431
235 교토의정서에 대한 고찰 [15] 우주연방 2005.06.09 430
234 등골이 오싹하네... 봉은사... [4] 석연화 2010.10.26 429
233 키보드 워리어, 이들의 운명. [24] Ian 2005.06.25 429
232 왜 초등학생들이 나쁜 취급을 당하는거지? [32] 작은약속 2005.05.28 429
231 세상에서 가장 평등한 것은 죽음인가 [16] 대충하는것 2007.06.03 427
230 정신장애인 범죄... 지금의 처벌이 적당한가? [15] 이나시엔 2006.05.10 427
229 일본 정부나 일본 우익단체만 욕할라 해도 그럴수 없는이유. [16] 죄인 괴수 2006.09.02 426
228 아마추어 게임 심의, 과연 옳은 일인가? [3] 독도2005 2010.09.12 425
227 현재의 소비문화... 어떻게 되어야 할까? [16] Vermond 2006.11.24 425
226 초등학교 과잉 체벌 파문 [21] [진진] 2006.06.29 425
225 우주밖에는 과연 무엇이 있나 ? [29] 창조자 2005.12.01 425
224 인터넷이 한 사람 인생을 망치는 무기라니.. [18] 타다기 2005.07.03 425
223 라면에 대해서... [23] Monami。 2005.05.29 425
222 훌륭한 대통령은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 [9] 죄인 괴수 2006.10.12 424
221 대학은 꼭 가야 하는가? 한 말씀 올립죠.. [6] tine-수인 2006.09.23 424
220 가끔가다 생각해줘도 될법한 것. [14] libera 2005.11.14 423
219 군대회피하려 다른나라간 사람 [21] 걸인소년 2005.06.12 422